언론기사


[제14회 서울변방연극제 웹진] ‘공상의 뇌 2012’ 장애인극단판 & 류세이오 류

관리자

공상의 뇌 2012 ㅣ 장애인극단 판 & 류세이오 류

(Fancy of the brain) | The Theater Pan For person With A Disability & Ruuseioh Ryu


사진 : 장애인극단판


변방이 묻는다.

Q. 작가분이 생각하시는 ‘연극 없는 연극, 정치 없는 정치’ 란?

A. 기존의 연극이 아닌 것처럼 보이는 모든 것들을 하는 연극, 기존의 정치처럼 보이지 않는 모든 것들을 정치적인 것이라고 일컫는 것, 그것은 모두 상상하고 생각하는 행위를 전제로 일어나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공상하는 뇌’라고 할까요. 우리가 상상한다고 깨닫지 못할 때에도 우리는 상상하고 끊임없이 무언가 만들어내고 있죠. 아무 것도 하지 않는다고 믿을 때 조차도. 우리가 ‘정치’나 ‘연극’이라는 단어를 떠올리지 않고 있을 때에도 우리는 어쩌면 너무 정치적이나 너무 연극적일지도 모릅니다.

예술감독이 묻는다.

Q. 작품 제목 를 보면, ‘뇌’란 ‘몸 혹은 신체’와 다른 지점으로서의 개념을 말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도대체란 무엇일까요? 이 작품에서는 왜를 주목하게 되었나요?

A. 제가 작품 제목에서 말하는 란 생각하고 있는 것과 생각하고 있지 못하는 모든 것의 총체적인 의미입니다. 그 의미를 이번 작품에서 표현해 보고자 라는 제목을 정하게 되었습니다. 공연의 마지막 장면에 소품으로 사용되는 글귀에 이 모든 의미가 담겨져 있다 할 수 있습니다. “지금 무엇을 생각하고 있는 걸까? 여기에 내려서니 문득 낯설게 떠오르는 것. 그것은 눈에 보이는 것일까? 아니, 새롭게 만들어 내는 것인지도모른다.”

관객이 묻는다.

Q. 안무가이자 연출가인 류세이오 류와 함께 하는 공연이 기존에 ‘장애인 극단 판’에서 해오던 공연과 다른 점이 있다면?

A. 장애인극단 판의 창작과정은 대본을 만들고 그 대본으로 배역을 정하고, 리딩을 하고, 장면을 만들어 나가는 말로서의 언어를 많이 사용했다면, 이번의 류세이오 류와의 작업은 순수 몸으로서의 언어를 집중적으로 자신이자유롭게 표현하는 방식이다. 기존에 판에서 해왔던 작업이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고 질문함으로서 개킥터를 만들어가는 과정이었다면, 연출가 류세이오 류와의 작업에는 즉흥적이고 순간의 느낌을 강조하는 감정의 자유표현을 중점적으로 다루게 될 것이다. 어찌보면 판에서의 작업으로는 자유롭게 표현하지 못하는 감정들과 언어들을 류세이오 류와의 작업에서는 한층 더 자유롭게 표출할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한다. (장애인극단 판)

Common Question

Q. What does the theme, “Theatre without theatre, Politics without politics” mean to you?


A. To perform a theatre that denies the conventional theatre. To regard everything not previously viewed as political as politics. This is all to happen with imagination and thoughts. It’s like ‘Brain in Fantasy’ : though we do not recognize, we always think and imagine of something new. Thus, even when we believe we are doing nothing at all, or when we are not occupied with words like, ‘politics’ or ‘theatre’, we may be already too political or too theatrical.

Question by Art Directors

Q. Thinking of your title, , ‘Brain’ seems to distinguish itself from ‘Body’ in terms of conceptual point. What is the? What made you focus on in this project?


A. The I am describing from the project is the aggregate meaning of being in thoughts and being in unable to think. I have come to name it so as to express it in this project.


You may also discover the last item used at the final scene of the performance would contain all of which I would want to illustrate. “What am I thinking? That strange thing that suddenly comes to my mind as I come down here. Can I see it? Oh, maybe not. Maybe I am trying to make up something new.”

Question by Audience

Q. Is working with Ryusaio Ryu – dancer & producer – any different from your previous works at ‘The Theatre Group for The Handicapped: PAN’?


A. The production process at PAN is based on ‘speaking language’ to make scenarios, choose characters, do readings, and produce scenes, while the project with Mr. Ryusaio Ryu is to use body as a means to language to freely express ourselves.


Also, if were to say the previous work at PAN is more of establishing one’s thoughts and asking questions to make their own character, with Mr. Ryu the expression shall focus more on immediate and momentary feeling. In this respect, I am expecting to have a greater range of expression to be illustrated from emotions and languages freely, which I could not be so much allowed at PAN. (The Theatre Group for The Handicapped: PAN)


Translation : Dong Ju Lee


원문보기